홍콩의 천문학적인 임대료와 극악의 주거 비용
홍콩은 수십 년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어려운 도시로 꼽혀 왔으며, 특히 주택 임대료는 전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조사에 따르면, 홍콩의 주거 비용은 뉴욕, 런던, 싱가포르를 제치고 단연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간 규모 아파트의 평균 월세는 HKD 20,000~50,000(USD 2,500~6,400)에 달하며, 반면 홍콩 최상류 층이 모여 사는 더 피크(The Peak) 지역의 고급 주택은 이보다 10~20배 이상 비쌉니다.
이런 배경에서 홍콩 부동산 시장의 상징적인 존재인 리자우키(Lee Shau-kee)의 세 채의 대저택(35 Barker Road)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부의 아이콘"으로 통합니다. 리자우키는 홍콩 4대 부호 중 한 명이자 헝다이 그룹(Henderson Land) 창립자로, 그의 주거지는 홍콩 최고가 임대주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홍콩의 주거 비용 현황을 짚어보고, 리자우키의 대저택이 왜 천문학적 임대료를 기록할 수 있는지 그 구조와 스펙을 면밀히 분석합니다.
리자우키 대저택( Lee Shau-kee's Peak mansion)의 초호화 구조와 스펙 분석
리자우키의 대저택은 더 피크의 35 Barker Road에 위치하며, 총 3채의 독립된 주택이 하나의 대지에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단일 주택이 아닌 컴파운드(Compound) 형태로, 각 건물이 개별적인 기능과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때문에 월세는 3채를 따로 계산하고 있으며 각각 HKD 888만, HKD 840만, HKD 792만과 16대의 주차공간에 대한 임대비용이 HKD 408,000으로 이를 모두 합한 월 임대금액은 HKD 2,520만 (약 46억 원)으로 올해까지 5년 연속 홍콩에서 가장 비싼 임대비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세부 구조 및 면적
- 총 대지 면적: 약 9,200㎡(약 2.27에이커)
- 건축 면적: 각 주택 약 3,000~3,500㎡(약 32,000~37,000평방 피트)
- 3개 주택 총 연면적: 약 10,000㎡(107,639평방 피트)
- 주차장: 지하 2층 포함 총 16대 수용 가능
- 전기차 충전 시설 및 VIP 개별 출입구 구축
2. 실내 공간 구성
- 침실: 각 주택당 5~6개, 총 15~18개
- 욕실: 각 주택당 7~8개, 총 21~24개
- 마스터 욕실은 온돌 바닥, 증기 사우나, 스마트 미러 탑재
- 특별실:
- 24인용 프라이빗 극장(돌비 애트모스 사운드 시스템)
- 와인 셀러(2,000병 이상 수용)
- 실내 수영장(유리 천장으로 자연 채광)
- 피트니스 센터(개인 트레이너 상주 가능)
3. 외부 시설
- 정원: 3개 주택을 연결하는 약 1,500㎡ 규모의 조경 정원
- 희귀 식물과 인공 폭포 설치
- 야외 수영장: 25m 올림픽 규격
- 헬기 패드: 긴급 시 사용 가능한 소형 헬기 착륙장
4. 보안 시스템
- 3중 보안 레이어: 생체 인식 출입 시스템, 24시간 경비원, 드론 감시
- 벙커 시설: 재난 대비 지하 안전실
5. 사진 및 정보 확인 가능한 출처
- 구글 지도를 통해 대저택의 외부 전경 확인 가능: 구글지도 링크
- 홍콩 토지등기처(Hong Kong Lands Department)에서 대지 정보 검색: 토지등기처 공식 사이트
- 리자우키의 부동산 포트폴리오는 헝다이 랜드 연차보고서에서 일부 공개: Henderson Land Reports
35 Barker Rd · 35 Barker Rd, The Peak, 홍콩
35 Barker Rd, The Peak, 홍콩
www.google.com
홍콩 부동산 시장의 계급적 양극화와 리자우키 저택의 의미
리자우키의 대저택은 홍콩의 극단적인 부의 집중을 상징합니다. 홍콩 인구의 20% 이상이 공공임대주택에 살며 월세 HKD 2,000(USD 256) 미만을 내는 반면, 상위 0.1%는 리자우키와 같은 초호화 주택에서 "부의 게임"을 즐깁니다. 이는 홍콩 정부의 토지 공급 부족과 외국인 자본 유입이 빚은 결과입니다.
특히 더 피크는 홍콩에서 가장 비싼 주택가로, 평균 주택 가격이 HKD 1억(USD 1,280만)을 넘습니다. 그중에서 리자우키의 저택이 가장 높은 임대료를 책정받을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희소성: 더 피크의 토지는 이미 개발 포화 상태이며, 9,200㎡ 대지는 "황금 땅"으로 취급됩니다.
- 프라이버시: 3개의 주택으로 구성된 컴파운드는 외부인의 접근을 원천 차단합니다.
- 문화적 가치: 홍콩인들에게 리자우키는 "성공의 아이콘"이며, 그의 주거지는 풍수학적으로 최적의 위치라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고가 주택의 존재는 홍콩 사회의 격차 문제를 부각합니다. 2023년 홍콩 정부는 서민층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북부 대구획(Northern Metropolis) 개발을 발표했으나, 이는 20~30년의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리자우키의 저택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닌 글로벌 자본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중국 본토와 해외 투자자들이 홍콩 고급 주택 시장을 주도하며, 이는 주택의 상품화를 가속화합니다. 한편, 홍콩의 주거 비용은 도시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젊은 인재의 유출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결국, 리자우키 대저택의 임대료 이슈는 홍콩이 직면한 계급적·공간적 모순의 축소판입니다. 부의 과시와 서민의 절망이 공존하는 이 도시의 미래는, 토지 정책의 혁신과 사회적 합의 없이는 어둡기만 합니다.
'홍콩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광동어 학습 사이트 모아보기 (0) | 2025.03.19 |
---|---|
🌦️ 홍콩 4월 날씨: 변덕스런 봄과 여름 사이의 어딘가 (0) | 2025.03.19 |
🇭🇰 홍콩 가상화폐 거래소 현황 + 거래소 계좌개설 요건 (0) | 2025.03.18 |
🌦️ 마카오 3월 날씨 & 여행 패션 가이드 (0) | 2025.03.11 |
❄️ 홍콩에서 에어컨 없이 살 수 있을까? (0) | 2025.03.10 |